민족의 우수성을 빛내여가는 도자공예가일가

주체111(2022)년 2월 25일

민족의 우수성을 빛내여가는 도자공예가일가

우리 공화국에는 선조들이 창조하고 발전시켜온 고려청자기의 아름다움과 매력을 천여년세월이 흐른 오늘날에도 훌륭히 이어가는 도자공예가일가가 있다.

그들이 바로 만수대창작사 창작가였던 임사준선생과 그의 일가이다.

고려청자기는 조선의 첫 통일국가였던 고려(918년-1392년)의 공예가들에 의하여 처음으로 제작보급된 자기들중에서 가장 우수한 자기이다.

비취색의 바탕에 상감기법이 적용된 우아한 형태의 고려청자기는 색과 문양, 모양이 특출하여 세상에 널리 이름나게 되였으며 그 우수한 전통은 세세년년 대를 이어 오늘까지 이어지고있다.

임사준선생은 지난 세기 력사기록으로만 남아있던 고려청자기가 세상에 다시 태여나 빛을 뿌릴수 있도록 하는데 크게 공헌한 이름있는 도자공예가이다.

망국의 비운이 짙게 드리웠던 주체16(1927)년에 빈농의 가정에서 태여난 선생은 어릴 때부터 미술에 남다른 취미를 가지고있었다. 그러나 입에 풀칠조차 하기 어려운 처지에서 학교란 꿈도 꿀수 없었던 선생은 14살부터 남포고려자기공예시험소(당시)에서 소년로동자로 일하였다.

일제에 의하여 가혹한 로동을 강요당하지 않으면 안되였던 피눈물의 나날 도자기기술을 련마하여 제손으로 멋들어진 도자기를 구워보려고 모지름을 쓴적은 그 얼마였고 참을수 없는 민족적수모와 천대를 받은적은 또 그 얼마였는지 모른다.

제손으로 빚어 처음으로 구워낸 도자기가 바로 자기의 눈앞에서 땅바닥에 내동댕이쳐져 산산쪼각이 났을 때조차도 항변 한마디 못하고 그 모든 모욕과 멸시를 감수하여야만 하였던 그 세월 선생은 조국이 없으면 개인의 희망도 꿈도 없다는것을 뼈속깊이 체험하게 되였다.

조국의 해방은 선생에게 앞날에 대한 남다른 희망과 용기를 안겨주었다.

선생은 일제가 마사놓고 달아난 도자기공장을 복구하고 자기의 손으로 도자기를 꽝꽝 구워내며 비로소 삶의 희열을 처음으로 느끼였다.

그 기쁨을 안고 선생이 주체37(1948)년에 창작한 첫 작품인 《함박꽃장식꽃병》은 출품되자마자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후 당의 은정속에 만수대창작사 도자기창작단에 소환된 선생은 이름없던 도자기기술자에 불과했던 자기를 그토록 믿어주고 내세워준 우리 당의 크나큰 신임과 배려에 보답할 일념을 안고 지난날 세계에 널리 알려졌으나 세월의 흐름속에 자취를 감추었던 고려청자기를 다시 만들어내기 위하여 고심어린 탐구와 피타는 노력을 다하였다.

그는 수백수십번의 실험을 통하여 오직 흰 흙으로만 도자기를 만들수 있다고 하던 기존관념을 깨고 도자기의 기본성분으로 될 새로운 재료와 유약들을 찾아냈으며 그 배합비률과 도자기의 성형, 소성법을 새로 완성하였다.

그리하여 선조들이 만들었던 고려청자기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내면서도 색갈과 모양, 문양, 강도 등에 있어서 더욱 세련되고 완성된 도자기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하였다.

선생의 진지한 탐구와 고심어린 노력에 의하여 지난 시기 자취를 감추었던 고려청자기의 성형과 소성법이 새롭게 완성되였으며 력사의 갈피속에 묻혀 없어질번한 고려청자기가 다시 세상에 태여나 자랑떨칠수 있게 되였다.

임사준선생은 50여년의 도자기창작생활기간 민족적특성과 현대적미감에 맞는 진귀한 도자기공예작품들을 수많이 창작하였는데 그 작품들은 아름답고 우아한 모양과 신비로운 색채, 률동적인 문양으로 하여 우리 나라뿐아니라 세계에도 널리 알려졌다.

그 가운데는 높이 2. 16m의 특대형고려청자기와 《목란꽃상감장식청자꽃병》과 같이 국보로 소장된 걸작품들도 많다.

지금 그의 자식들은 선생의 대를 이어 도자기공예기술을 부단히 발전시켜나가고있다.

만수대창작사 도자기창작단 창작가들로 된 그들은 중국과 영국 등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진행된 전람회들에서 고려청자기의 우수성을 잘 보여주었다.

임경익은 주체99(2010)년 높이 2. 6m의 《소나무와 학상감장식청자꽃병》을 창작하였다.

《해오라기상감장식꽃병》, 《버들과 백조상감장식꽃병》 등 그들이 창작한 수많은 작품들은 국가미술전람회들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조선미술박물관에 국보로 소장되여있다.

오늘은 임사준선생의 손녀인 임애경이 그들속에 들어섰으며 손자인 임창성도 평양미술대학에서 이름있는 도자공예가가 될 꿈을 자래우고있다.

그들은 지금 당중앙위원회 제8기 제4차전원회의 결정을 높이 받들고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적극 살려나가면서 현대적미감에 맞는 도자기들을 더 훌륭히 창작하기 위해 밤낮이 따로 없는 창작전투를 벌리고있다.

Follow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