電話: 090-9884-1961
FAX : 050-3588-4311
MAIL:master@munedong.com
〈재일동포문학예술의 계승자, 혁신자〉각지 문예동 맹원들⑯
《그 붓을 두지 말라》/문예동東海 미술부장 조성주씨
《조선신보》2022.09.29
〈재일동포문학예술의 계승자, 혁신자〉각지 문예동 맹원들⑥
문예동은 일본 방방곡곡에 흩어져있던 문학예술가들이 집결하여 1959넌 6월 7일에 결성된 주체적이며 애국적인 첫 문예조직이다. 이역땅에서도 조국과 민족을 위한 곧바른 한길에서 문학예술을 창조하여온 각지 문예동 맹원들의 열정과 헌신을 소개해나간다.(협력=문예동중앙)
학생들에게 미술을 배워주는 조성주씨(오른쪽)
문예동東海 미술부 조성주씨는 아이찌중고 고급부 미술부, 조대 교육학부 미술과를 졸업하여 20년간 우리 학교에서 미술교원으로 교단에 섰다가 7 년전에 조선옷제작가로서 기업하였다. 조선민족의복이 그의 연구와 창작의 과제이다.
문예동도까이 미술부는 2년전에 재건되였다.
미술부재건의 계기를 마련한것은 리성향씨였다. 리성향씨는 아이찌조고 미술부출신으로 조성주와 마찬가지로 이전 미술부장이며 은사인 김종일씨의 지도를 받았다. 미술을 배워왔으나 발표하는 마당이 없다며 창작과 경험을 공유하는 마당으로 《미술부》를 재건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그의 제안에 큰 힘을 얻은 조성주씨가 선배로서의 본분을 다하기 위하여 부장을 맡아나서게 되였다.
아직 뜻대로 활동을 못해왔으나 새세대 미술가들의 희망을 꽃피우기 위한 토전을 갖추어나가고있다고 그는 이야기하였다.
이곳 미술부는 2023 년에 부전을 개최한다는 목표를 세워 맹원을 늘여나가고있다. 현재는 20 대의 청년들을 포함한 5 명이 소속하고있다.
22년전에 조성주씨가 아이찌조고를 졸업할 때 김종일씨는 《미술가로서 끊임없이 창작을 하며 발표해나가야 된다.》고 전하였다.
조대를 졸업한 후에도 붓을 두지 말라며 계속 그림을 배우고 발표할수 있는 마당으로서 문예동 미술부에 망라하도록 하였다.
그는 《색과 모양, 크기와 질감, 빛과 소리 등 수많은 요소들이 뇌수의 깊은곳을 자극하는 쾌감을 공유할수 있는 공간은 따로 찾기 힘든 특별한 공간이였다. 거기서는 누구나가 미술의 친구였다.》고 말한다.
그러나 조성주씨가 결혼을 계기로, 다른 맹원들도 생활상 사정으로 아이찌를 떠나게 되면서 미술부의 활동은 정지상태에 놓이게 되였다.
아들을 우리 학교에 보내기 위하여 조성주씨는 아이찌에 다시 돌아오게 된것이 5년전이다. 돌아오자마자 미술부의 재건사업에 발벗고 나선것은 은사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서였다. 미술부장과 함께 모교의 미술강사도 맡아하게 되였다.
그림을 그리는것을 질색으로 여기는 아이들에게는 문예동 미술부의 선배, 스승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미술과 친구가 되자.》고 재미를 배워주고있다. 올해 4월에는 미술과 친구로 된 3 명의 학생들이 조대 미술과에 진학하게 되였다.
학생들을 보내면서 한 말은 스승과 같이 《네가 쥔 그 붓을 두지 말라.》였다.
다음은 재자들을 위하여 미술부의 불씨를 지켜나가는것이 그의 새로운 삶의 과제로 되고있다.